군산대, 차세대 이차전지 성공...이경구 교수팀 기술개발...교육부 연구자료 활용

전기자동차용 리튬금속전지 상용화

이영노 | 기사입력 2021/02/18 [10:33]

군산대, 차세대 이차전지 성공...이경구 교수팀 기술개발...교육부 연구자료 활용

전기자동차용 리튬금속전지 상용화

이영노 | 입력 : 2021/02/18 [10:33]

군산대 이경구 교수     ©이영노

[오늘뉴스=이영노 기자] 군산대학교(총장 곽병선) 이경구 연구진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꼽히는 '리튬금속 이차전지'의 수명과 출력을 개선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18일 군산대학교 화학과 이경구 교수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연구위원: 곽경원 고려대 화학과 교수)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리튬금속 이차전지의 수명 및 출력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는 것.

 

기존 리튬이온전지는 노트북, 휴대폰 등의 전자 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저장 용량이 작고 수명이 짧다는 한계로 인해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로 사용하기에는 그 한계가 분명했다.

 

군산대 이성구 교수가 개발한2차전지   © 이영노

 

이에 흑연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와 달리 10배 이상 큰 저장용량을 가진 리튬금속을 사용하여 개발된 리튬금속전지는 리튬이온전지의 한계를 극복한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대안으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리튬금속전지 역시 충/방전을 거듭할수록 리튬금속 표면에 나뭇가지 모양의 수지상결정(dendrite)이 형성되어 전지의 수명이 짧아지고, 화재나 폭발 등에 취약하다는 약점을 갖고 있었다.

 

수지상결정 형성은 리튬금속에 보호막을 도입하여 해결할 수 있으며 높은 농도의 전해질을 사용하면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농도의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출력 성능이 저하되어 전기차용 이차전지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최근 이경구 교수 연구팀은 두 개의 전해질 염(LiPO2F2과 LiTFSI)을 사용하여 전지의 수명을 확보함은 물론 고성능의 출력을 낼 수 있는 기술을 순수 국내 연구로 개발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팀은 리튬금속전지의 문제인 수지상결정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두 개의 전해질 염을 활용하여 리튬금속 보호막을 제작하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동시에 고농도 전해질의 한계였던 이온전도도는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준인 5mS/cm 이상을 보여 출력 성능 역시 높였다.

 

또한 연구팀은 이론 계산을 통해 두 종류의 전해질염을 포함하는 전해질 내에 이온 간의 선택적 상호작용이 존재한다는 것도 밝혔다. 이로 인해 고농도에서도 10% 이상의 자유 리튬이온이 존재하며 이는 높은 이온전도도의 원인임을 밝혀냈다. 이 원리는 향후 리튬금속전지의 고성능화를 위한 전해질 설계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경구 교수 연구팀의 연구결과에 따른 리튬금속전지가 전기차용 이차전지로 상용화될 경우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대폭 늘릴 수 있어 국내 자동차 제조사들 및 이차전지 제조사들에 큰 도움이 될 것은 물론, 국내 기업들이 세계 전기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이다.

 

교육부 개인연구사업(지역대학우수과학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기초연구실)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국제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 (인용지수 25.2)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어 2월 8일 자로 게재되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